대한불교조계교선종 구안사

천도재공양

천도재(薦度齋)

천도재(薦度齋) / 49재

천도재(薦度齋)의미

천도재 의식은 망자의 영혼을 좋은 극락으로 보내기 위한 의식 입니다.

가족 중 누군가 잘 되면 다른 가족도 그 영향을 받는 것처럼 영가가 천도되면 그 주변에도 도움이 되고 운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며, 영가에게 가장 좋은 길이 극락정토에 왕생을 하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천도재를 지내는 것입니다. 천도가 되지 않으면 삼악도 (지옥, 아귀, 축생)에 빠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천도재는 영가가 극락정토의 길을 잘갈 수 있도록 하늘과 부처님께 기도를 드리는 의식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독경, 각종 법회, 시식, 불공 등으로 행해지며 그 종류도 49재, 100일재, 연년기제, 소상, 대상 등 정기적 천도재와 물과 육지에서 헤매고 있는 외로운 혼령들에게 법과 음식을 베풀어 구제하는 수륙재(水陸齋), 특별히 필요에 따라 시설하는 정기적인 천도재 등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재의 경우 7일부터 49재와 100일재, 소상, 대상을 합하여 10번을 하는데 이는 명부시왕(冥府十王)에게 심판을 받는다는 명부왕 신앙에 근거한 것이며, 이중에서도 49재를 가장 중시하는 것은 명부시왕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염라대왕이 49일째 되는 날 심판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천도가 되는 원리로는, 49재를 비롯한 천도재는 단지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 의식이 아니라 영가에게 부처님의 법을 들려주는 의식이므로 영가를 인도해 스스로 생전의 죄업을 참회하도록 권하고 법을 듣고 깨달을 수 있는 기회, 수도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입니다. 결국 영가 자신이 업장(業障)을 소멸함으로써 죄업의 과보를 면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유가족이 영가를 위해 재를 지내거나 선업을 지으면 이것이 죽은 이의 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유가족도 재를 통해 자신의 죄업을 참회하고 재계를 지키게 됨으로써 업장을 소멸하고 공덕을 짓게 됩니다.
『지장경』에도 죽은 이를 위해 재를 지내면 그 공덕의 7분의 1은 영가에게, 7분의 6은 재를 지내는 사람에게 돌아간다고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가족은 천도재를 지내는 동안 팔재계를 지키고 삼업을 청정히 하고 영가가 극락왕생하기를 간절히 기원하면서 경건하게 지내도록 합니다. 이처럼 영가를 위해 재를 지내는 것은 불법을 듣게 해서 영가에게 마음 닦을 기회를 주고 유가족이 불보살과 승려 및 대중에게 음식 등을 회향함으로써 영가를 위한 공덕을 쌓아주는 것입니다. 바다에 던지면 가라앉을 바위도 배에 실으면 가라앉지 않는 것과 같이, 유가족이 영가를 위해 공덕을 짓고 죄업중생이 재(齋)를 통해 참회하고 간절히 기원하면 죄업으로 고통받는 중생을 모두 구제하고자 큰 서원을 세우신 불보살님의 원력(願力)과 감응하게 되어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천도재는 돌아가신 부모와 조상님들이 살아 생전에 업이 많아서 그 영혼이 지옥ㆍ축생ㆍ아귀의 三惡道에 빠졌다든가 구천 세계에서 헤맨다든지, 혹은 시신을 안장한 조상의 묘터가 안정되지 못해서 살풍이 몰아치고, 물과 습기로 썩은 땅에 조상을 매장해 놓았을 경우 유골이 썩어가고 고통 받게 되어 부모와 조상 영의 나쁜 氣가 후손에 전달되어 물질적 빈곤과 정신적ㆍ육체적 이상을 겪게 됩니다. 즉 살아 생전에 인연지은 가족이나 자손ㆍ친척에게 感應하고 交流되어서 가족들은 가정불화의 파란, 사업부진, 사업실패, 교통사고, 가족의 사망, 불치병, 난치병 등의 불화가 끊임 없이 일어나고, 매사에 되는 일이라곤 없게 됩니다. 이런 고통에서 벗어 나기 위해서는, 조상 영, 부모형제의 영, 친인척등의 영, 낙태아 영들의 위패를 작성하여 안치시키고 스님의 기도법력과 신도의 정성으로 구천을 떠도는 모든 영혼들을 지장보살님의 인도로 佛法과 인연을 맺어, 지장경 안에서 스스로 法文을 깨달아 괴로움와 미움을 버리고 즐거움으로 나아가 밝은 세계에 안주하도록 인도하는데 있습니다.

사십구재(四十九齋)의 의미

칠칠재(7·7재, 七七齋)라고도 불리는 사십구재는 사람이 죽은 뒤 49일째에 치르는 불교식 제사 의례 중의 하나이며, 원래는 6세기 때부터 불교의 윤회사상과 유교의 조령숭배사상이 절충돼 생겼다고 합니다. 사십구재(四十九齋)는 사생(四生), 네 가지 생명(胎 태로 생긴 것, 卵 알로 생긴 것, 濕 습기에서 생긴 것, 化 변화하여 생긴 것) 과 유색(有色), 무색(無色), 유상(有想), 무상(無想), 비유상(非有想)비무상(非無想)으로 생긴 아홉 가지 중생을 제도하여 적멸의 극락세계에 왕생케 하는 의식입니다. 무한의 허공에 펼쳐져 있는 생명체는 전부 인연에 따라 생기고 멸하는데 그 생명의 종류가 여섯 갈래이며, 육도(六途)라 하고 종류는 지옥, 아귀, 축생, 수라, 인간, 천상으로 나누어져 있어 각자의 지은 업(業)과 습관에 따라 이 여섯 가지의 몸을 받아 죽고 나고 죽고 나고 윤회하게 된다고 합니다. 불교에서는 죽고 나고,죽고 나는 과정에서 다음 생을 받는 예비 기간을 중유(中有) 또는 중음(中陰)이라 하며, 사십구일 기간에 재의식을 통하여 영혼을 눈뜨게 하여 지혜로운 안목으로 극락세계로 왕생하게 하는 영혼교육 또는 영혼을 수행케 하는 것이 49재인 것입니다. 7일마다 진행하는 재(齋)는 첫째인 초재에서 부터 칠재까지 각 재마다 방법과 목적이 구별되어 사람의 의식 구성이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로 되어 있어 이 여섯 감각기관이 쌓아 놓은 과거를 7일마다 각각 밝고,맑게하는 의식이 칠재인것입니다.

49재날짜 계산방법

49재 계산은 돌아가신 날이 기준입니다. 돌아가신날을 1로 잡아, 그 다음 날부터 2, 3, 4, 5, 6,7일날이 첫재 이재 삼재 사재 오재 육재, 마지막 칠재가 사십구재입니다. (7일 x 7 칠칠 사십구재)